회원메뉴

인문/교양

민화학교에서 발간하거나 관련된 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 아트북
  • 인문/교양
    • 민화/도록
    • 인문/교양
    • 역사/문화
    • 예술/일반
    • 어린이/청소년
    • TSOM 아트케이스

무안만에서 처음 시작된 것들

책 정보
저자 이윤선
출판사 다할미디어 출간일 2022년 03월 25일
쪽수 226페이지 크기 152*223mm
정가 15,000원 ISBN 9791191656183
판매가 13,500원 (10% 할인) 배송비 3,500원
총 상품 금액 :

책 소개

무안만을 말하고 남도만을 말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만의 물골을 따라 오르면 그 끝자락에는 여지없이 사람들이 모이고 마을이 구성되며 독창적인 문화가 꽃을 피웠다. 무안만, 남도만을 말하는 것은 산천 중심의 국토 인식에서 바다 혹은 물골 중심의 사고로 바꾸어보고자 하는 의도이다. 대칭적 관점의 균형을 찾자는 뜻. 여성과 장애인, 소수자들의 인권이 회복되고 세상이 민주화돼가는 흐름도 함께 주목해 볼 수 있다. 당연시했던 계급과 계층 구분의 풍속이 사실은 몰이해와 편파에 따른 것이었다는 깨달음도 여기서 비롯된다. 아정한 것과 속된 것이 좋고 나쁘거나 귀하고 천한 것으로 나뉘는 게 아니라 대칭으로서 동등한 것이다.

이제는 내륙에서 섬과 바다로 시선을 돌릴 때이자 ‘가진 자’와 ‘큰 것’에서 ‘가지지 못한 자’, ‘작은 것’으로 패러다임이 이행하는 시기이다. 세상은 그렇게 진보해왔으며, 여기서 시대적 비전과 희망을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영산강 물 아래 위치한 ‘무안만’에서 이 같은 시대정신을 찾아가는 인문학 여정을 담고 있다. 

목차

서문_ 무안만에서 시대정신을 찾다

1장_ 물 안과 물 아래, 무안반도 다시 읽기

왜 무안만인가/ 흑조에 길을 묻다/ 영산강의 새로운 해석, 무안만/ 다시 지도를 거꾸로 놓고

2장_ 명선, 고양의 길을 가다

눈길에 스며든 낯선 이름들/ 초의 장의순과 다소 운흥사/ 다성 초의와 다산 정약용/
삼향 왕산의 차선고도

3장_ 각설이품바의 본향을 찾아서

품바타령의 연행자는 누구인가/ 마지막 각설이, ‘자근이패’/ 최초의 품바극과 김시라/
가장 낮은 자리로 나를 내려놓기

4장_ 부활의 보금자리, 꼬까비 한산촌

달리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구원/ 황해도에서 남도 한산촌까지/ 한산촌을 거쳐 간 사람들

5장_ 물길 따라 흐르다, 옹기와 무안분청

몽탱이 돌꾸쟁이 나루에서/ 옹기 배 다니던 영산강 그 시절/ 중성염으로 구운 철학/
무안분청의 심연/ 하방에서 고양으로, 무안분청 세계관/ 남도만, 도자산업의 토대가 되다

6장_ 갯벌과 황토, 생극의 서사를 품다

황토와 갯벌이 전하는 이야기/ 황토 땅, 양파를 품다/ 갯벌과 낙지의 부화/
최초의 레퓨지움, 최후의 마을

7장_ 창극, 전통인가 혁신인가

전통음악의 재구성, 창극/ 가극에서 악극까지/ 판소리 창극 만든 무안 사람/
국악 오페라가 뜬다

8장_ 공동체의 울림을 담은 소리, 농악

호남 우도농악의 전승/ 교섭과 혼종, 농악의 재구성/
양림마을 당산제에서 성남리 마당밟이까지/ 양림마을, 농악의 전형이 되다

9장_ 풍수, 갱번, 반도에서 해만으로

무소의 뿔처럼 거듭나라/ 풍수와 생극론의 땅/ ‘해경표’, 무안만에서 첫발을 떼다/
뭍과 물의 연대, 남도 갱번론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