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플라톤부터 BTS까지, 음악 이면에 담긴 철학 세계
대한민국 최고의 명품 강의를 책으로 만난다!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를 엄선한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시리즈의 열아홉 번째 책이 출간됐다. 역사, 철학, 과학, 의학, 예술 등 각 분야 최고의 서울대 교수진들의 명강의를 책으로 옮긴 서가명강 시리즈는 독자들에게 지식의 확장과 배움의 기쁨을 선사하고 있다.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는 서울대학교 강의평가에서 최고점을 받으며 교육상을 수상한 바 있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오희숙 교수가 쓴 책으로, 음악이 주는 감동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소리’에 담긴 아름다움과 가치를 연구해온 그의 치열하고도 세밀한 탐구의 결과물이다.
이 책에서는 “음악가가 되면 될수록 더욱 철학자가 된다”고 주장한 니체를 포함해 플라톤, 쇼펜하우어, 아도르노 등 음악 이면에 담긴 철학 세계가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넘나들며 아름운 선율과 함께 펼쳐진다.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학문의 분류
주요 키워드
들어가는 글 음악, 사유의 날개를 달다
1부 음악은 어디에나 있다
음악은 들을 수 없는 것을 듣게 한다_ 드뷔시의 <달빛>과 모방미학
음악은 어떻게 우리의 감정을 사로잡는가 - 비탈리의 <샤콘느 g단조>와 감정미학
음악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과 음악적 시간성
음악, 말보다 더 유창한 - 슈베르트의 <송어>와 음악적 언어성
음악은 천재의 산물인가? - 파가니니의 <라 캄파넬라>와 천재미학
2부 음악에는 철학이 있다
음악이 세계의 본질을 말할 수 있을까? - 말러의 <교향곡 제3번>과 쇼펜하우어의 음악철학
삶을 긍정하려면 음악이 필요하다 - 슈트라우스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니체의 음악철학
음악은 진리를 드러내는 예술인가? -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와 아도르노의 음악철학
3부 음악은 결국 사회를 품는다
음악과 사회, 그 다이나믹한 관계 - BTS의 <봄날>과 리얼리즘 미학
음악의 진보는 어디로 향하는가? - 크라이들러의 <간접광고>와 현대음악의 미학
음악은 수학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 AI 작곡가 이봄의 <그리운 건 모두 과거에 있다>와 음악의 수학적 성격
글로벌 시대의 크로스오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와 상호문화성 미학
나가는 글 음악은 언제나 나에게 말을 건넨다
주
저자 소개
‘아름다운 선율과 화음 속에서 철학을 사유하는 음악학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이론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대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
서 음악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사)음악미학연구
회 대표로 활동하면서, 음악미학과 현대음악을 분야를 중심
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대음악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미학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에 큰 관심을 가지면서, 쇤베르크와 힌데미트,
슈톡하우젠 등 서양의 20세기 음악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고, 이후 그 범위를 아시아와 한국으로 넓혀서 글로벌시대의 동아시아 음악과한국의 현대음악에 대한 연구와 비평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
에는 첨단 테크놀로지가 결합된 디지털 현대음악과 AI 음악을 연구하면서 포스트휴머니즘 미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상호문화성으로 보는 한국의 현대음악』, 『작곡으로 보는 한국현대음악사』, 『음악과 천재』, 『음악 속의 철학』, 『철학 속의 음악』,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 『20세기 음악 1, 2』 등이 있다. 공저로는 『중국 현대 오페라의 문화적 정체성』, 『문화적 텍스트로서의 한국과 일본의 현대 오페라』, 『작품으로 보는 음악미학』, 『피아노문헌 연구 1, 2』,『두길 서양음악사』, 『아도르노 달하우스 크나이프 다누저』등이 있으며, 편서로는 『베토벤의 위대한 유산』, 『그래도 우리는 이제 말해야 하지 않는가』, 『한국을 노래하는 세계의 작
곡가 정태봉 연구』, 『오페라 속의 미학 1, 2』, 『음악 말보다 더 유창한』, 『한국창작음악비평 1, 2, 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