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이름도 빛도 없는 민중’ 같은 도깨비
도깨비 민담을 듣고 도깨비굿 하는 모습을 보며 자라, 도깨비가 액운을 막아준다고 믿는 모습. 한국인의 흔한 삶의 풍경이었다. 권위 있는 신격은 없지만, 익살스럽고 해학이 넘치며 친근한 존재였던 도깨비. 그 많던 도깨비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
지금은 자취를 감췄지만, 도깨비는 우리 문화사의 대부분을 차지했을 뿐 아니라 한국인의 삶과 죽음의 경계에까지 깊숙이 숨어 있던 ‘문화적 형상’이다. 그러나 도시화, 문명화로 대변되는 천편일률적인 성장 담론이 한국인의 삶에서 도깨비를 몰아내고, 지금은 디지털 영상 문화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이 책은 도깨비의 시원이 된 비형랑 설화부터 혼불, 불놀이 계보를 따라서 도깨비의 형상과 이미지를 추적하며, 이를 통해 도깨비에 투영된 한국인의 욕망을 읽어낸다. 또한 마을 공동체에서의 도깨비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며 한국의 민속을 더 깊이 파고든다.
‘성찰하는 민속학’을 표방해온 인문학자 이윤선은 도깨비를 ‘이름도 빛도 없는 우리 민중’에 비유하며 무한한 애정을 피력했다. 소설가로도 등단한 저자의 유려한 필력 덕분에 웅숭깊은 인문서의 향이 난다.
목차
프롤로그_ 한국인들은 도깨비와 함께 산다
제1장 도깨비와 귀신은 같을까, 다를까
1. 도깨비와 귀신
2. 처녀귀신에서 ‘폰깨비’까지
3. 남깨비와 여깨비, 처녀귀신의 섹슈얼리티
제2장 치우가 도깨비일까?
1. 도깨비 형상, 치우와 뿔
2. 귀면과 용면, 오니 논쟁
3. 치우에서 다시 도깨비로
제3장 문지기가 된 목랑
1. 강진 사문안마을 도깨비 바위
2. 불교의 도깨비와 마을 문지기
3. 목랑, 오래된 나무숲의 정령
제4장 한중일 도깨비
1. 한국의 도깨비와 유사 이미지
2. 중·일의 요괴와 유네스코 무형유산 나마하게
3. 한중일 도깨비를 보는 눈
제5장 도깨비방망이와 도깨비감투
1. 숲에서 나무까지, 남근 메타포
2. 도깨비감투와 호랑이눈썹
3. 도깨비방망이의 출처
제6장 도깨비고사, 갯벌로 간 김서방
1. 물아래 김서방, 갯벌의 진서방
2. 김씨에서 참봉과 생원으로
3. 전이지대, 도깨비의 고향
제7장 물과 불의 아이러니, 레퓨지움의 전화(轉化)
1. 도깨비불과 혼불
2. 불도깨비와 물도깨비의 복선
3. 갯벌로 온 불의 정령
제8장 도깨비와 두깨비 다시 읽기
1. 도깨비의 강, 섬진강의 아우라
2. 다시 묻는 도깨비 어원
3. 남장한 달도깨비, 두꺼비 명상
제9장 유쾌한 반란, 도깨비굿의 심연
1. 반란, 여성 전유의 도깨비굿
2. 또 다른 반란, 대신맥이와 디딜방아 훔치기
3. 겁탈당한 레퓨지움
에필로그_ 도깨비의 회향을 기다리며
미 주
저자 소개
이윤선
전남 진도 출신. 민속학 관련 학술단체들이 연합해 만든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 이사장, 남도민속학회 회장, 일본 가고시마대 외국인 교수, 베트남 다낭외대 공동연구원 교수, 중국 절강해양대 명예교수를 역임하며 아시아의 도서해양문화권과 우리 문화를 비교 연구해왔다.
그동안의 학문적 성과를 우리 사회에 돌려주기 위해 ‘나를 성찰하는 민속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전남도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단편소설 「바람의 집」으로 등단하기도 했다.
논저로 『도서해양민속과 문화콘텐츠』(민속원, 200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岛屿 海洋民俗和文化产品』(上海文化译丛, 2017), 『남도 민속음악의 세계』(민속원, 201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산자와 죽은 자를 위한 축제』(민속원, 2018) 외 20여 편의 단행본과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