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책 소개
기존 판본들의 오류를 바로잡고
자세한 주석과 사진 자료를 더한
새로운 『백범일지』
왜 또 『백범일지』를 출간하나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을 지낸 독립운동가 백범白凡 김구金九(1876~1946). 『백범일지白凡逸志』는 그가 쓴 자전적 기록으로, 「상권」과 「하권」, 「계속」으로 구성돼 있다. 출생부터 동학군 선봉장을 지내고 국모의 원한을 갚겠다며 치하포에서 거사에 참여했다가 수감, 탈옥 후 공주 마곡사에서 승려가 되었던 청년 시절과,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교육구국운동을 벌이다 1919년 상해로 망명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조직하고 경무국장과 국무령을 거쳐 주석에 취임, 한국광복군을 조직해 항일무장부대를 육성하다가 광복을 맞아 환국한 일대기를 담았다. 1947년 국사원國士院에서 처음 발간한 이래 지금까지 40여 종(백범김구기념관 소장 목록 기준)이 출판되었으며, 어린이 도서까지 포함하면 80종이 넘는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백범일지』가 널리 읽히는 것은 백범의 애국 애족 정신을 배운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한 현상이지만, 문제는 그 『백범일지』 각처에 잘못된 내용이 많다는 것이다. 기존 판본들의 오류를 바로잡아 출간한 이 책 『새 번역 새 주석 백범일지』 역주자들에 따르면, 국한문 혼용의 친필본 『백범일지』를 기준으로 국사원 발행본을 비롯해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여러 『백범일지』 판본들에서 발견한 오류만도 250여 군데에 이른다. 따라서 “원본에 충실하면서도 정확한 내용의 『백범일지』 발간이 절실하다.”는 것. “이것이 평생을 우리나라 독립운동에 헌신한 백범의 높은 뜻을 받들어 기리는 일이 되리라고 판단해 『백범일지』 한 권을 더 발간한다.”는 취지이다.
『백범일지』에 나타난 오류와 새 번역, 새 주석
그렇다면, 그간 출판된 『백범일지』에 나타난 오류의 실상을 알아보자. 우선 친필본의 내용이 누락된 경우이다. 가령, “이시파尼市派는 창조創造 상해파上海派는 개조改造를 주장主張하였나니 소위所謂 창조創造는 현現 임시정부臨時政府를 취소取消하고 새로 정부조직政府組織을 하자는 것이고 개조파改造派는 현정부現政府 개조改造를 주장主張하다가…”, “기其 간부幹部는 윤기섭尹琦變 성준용成俊用 김홍서金弘叙 석정石正 최석순崔錫淳 김상덕金尙德 등等 제인諸人인데 즉시卽時로 환영회歡迎會를 개開하므로 기其 석상席上에서 통일문제統一問題를 제출提出하되…”에서 각각 밑줄 부분이 이유 없이 누락됐다.
백범이 잘못 쓴 친필본의 오류를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쓴 경우도 나타난다. 全奉準은 全琫準으로, 金炳燕은 金炳淵으로, 朴永孝는 朴泳孝로, 金弘逸은 金弘壹로, 安進士 祖父는 安進士 父親으로, 受戒師는 授戒師로, 白衲은 百衲으로 고쳐 써야 하는데 그대로 잘못 쓴 것이다.
용어의 뜻을 잘못 해석해 독자에게 혼란을 일으킨 예도 있다. ‘한훤寒喧 후에’는 날씨의 춥고 더움을 말하는 “인사를 한 후에”의 뜻인데 이를 “한참 후에”로 풀이하고, ‘꽃게 한 머리’는 “꽃게 한 덩어리”의 뜻인데 이를 “꽃게 한 마리”로 풀이하며, ‘김양金樣’은 일본어로 ‘김 씨’ 즉 김구를 가리키는 말인데 이를 “김구의 형상”이라고 한 것 등이다.
한자를 잘못 쓰거나 음을 잘못 읽은 것도 많다. ‘茂朱邑’을 ‘武朱邑’으로, ‘동감폭포東坎瀑布’를 ‘동취폭포’로, ‘수원성綏遠省’을 ‘유원성’으로, ‘童蒙先習’을 ‘童夢先習’으로, ‘公震遠’을 ‘公鎭遠’으로, ‘韓弼昊’를 ‘韓弼浩’ 또는 ‘韓弼鎬’로 잘못 표기한 것이 그것이다.
『백범일지』 곳곳에 이 같이 잘못된 해석과 엉뚱한 오류가 많아 백범의 본의가 잘못 전달되고 있는 실정인데, 같은 내용의 오류가 여러 판본들에서 똑같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이 책의 부록 ‘기존 출판 『백범일지』 정오표’에서는 이 같은 오류들을 상세히 밝히고 바로잡았다. 『새 번역 새 주석 백범일지』는 친필본 『백범일지』 원문에 충실함을 원칙으로 이해하기 쉬운 현대어로 서술했으며, 친필본에서 훼손됐거나 내용 확인이 가능한 부분은 보완 서술했다. 어려운 용어나 인명, 지명 등을 각주에서 자세히 풀이했으며 본문 이해를 돕는 사진이나 지도 등 도판도 많이 수록했다.
목차
차 례
책머리에_ 왜 또 『백범일지白凡逸志』를 발간하는가
상권
자인언自引言 인과 신 두 아이에게 준다
어린 시절
조상과 가정/ 출생 및 유년 시대/ 해주에서 강령으로 이사하다/ 다시 고향 기동으로/ 학동 시대/ 과거 응시/ 학구學究 시대
동학의 세계
동학東學 입문/ 동학 접주接主/ 청계동 생활/ 고능선 선생의 가르침을 받다
구국의 길을 찾아 청국으로
청국으로 가는 길/ 청국 시찰/ 강계성 전투/ 고 선생 손녀와의 혼담과 파혼
치하포사건 : 1차 투옥
국모의 원수를 갚다/ 1차 투옥/ 옥중 생활/ 사형 선고를 받다/ 대군주께서 형 집행을 멈추라고 친히 전화하시다/ 나를 살리기 위해 가산을 탕진한 김경득
탈옥, 그리고 마곡사에 은신
파옥破獄/ 거지 행색으로 서울로/ 삼남 지방 유람/ 삼남 지방의 모습/ 치도緇徒/ 마곡사를 떠나다
고향으로 돌아오다
부모님을 만나 평양으로 동행하다/ 부모님을 모시고 고향으로/ 은인 김경득을 찾아 강화도로/ 나를 구출하기 위해 모험대를 조직했던 유완무/ 고 선생을 마지막으로 배알하다/ 부친의 별세/ 두 번째 혼사의 실패/ 예수교와 교육자/ 세 번째 혼사의 실패/ 종상위원(種桑委員) 임명서를 받다/ 예수교회 여학생 최준례와의 혼인
국민 계몽 강연 : 2차 투옥
을사늑약 반대 운동에 참여하다/ 약탈하는 왜병들/ 안악 양산학교에서 신교육에 힘쓰다/ 김효영 선생의 애국심/ 성묘차 고향에 가다/ 황해도 각 군에서 강연회를 개최하다/ 2차 투옥/ 재령 보강학교장 때의 일들/ 나석주·이재명 의사와의 만남
신민회 사건 : 3차 투옥
합병의 치욕을 당하여 교육에 더욱 힘쓰다/ 신민회 비밀회의에 참가하다/ 안명근 의사와의 만남/ 3차 투옥/ 혹독한 고문/ 와타나베渡邊를 다시 만나다/ 국가는 망해도 인민은 망하지 않는다/ 왜놈의 신문 방법/ 종로구치감으로 이송되다/ 왜놈에게 강탈당한 양산학교/ 수포로 돌아간 지난날의 노력과 희망/ 15년 징역형을 언도받다/ 서대문감옥으로 이감되다/ 서대문감옥 사람들/ 어머님이 면회 오시다
서대문감옥에서
옥중 생활/ 옥중에서의 견문/ 메이지明治 부부의 사망으로 감형되다/ 인천감옥으로 이감되다
가석방, 그리고 상해로 망명
가출옥으로 석방되다/ 아내와 어머니/ 준영 삼촌의 별세/ 농부/ 출국/ 경무국장에서 내무총장으로/ 상처喪妻/ 국무령에서 국무위원으로/ 지난날을 회고하며
하권
자인언自引言
대한민국임시정부 경무국장
상해 도착/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불란서 조계 당국의 우리 독립운동 지원/ 불란서 조계에서의 사건들/ 상해의 당시 국내외 정세
이봉창·윤봉길 의거
임시정부 국무령에 취임/ 이봉창 의사의 동경 의거/ 윤봉길 의사의 홍구 의거/ 중국인과 해외 교포의 태도가 호전되다
피신 생활 속 독립운동
정탐을 피해 가흥으로 피신하다/ 가흥에서 다시 해염으로/ 중국의 발달된 산업을 체험하다/ 사대사상에서 시작된 우리 민족의 비운/ 뱃사공 주애보와 위장결혼을 하다/ 낙양군관학교 설립/ 한국국민당 조직/ 일본기의 폭격으로 장사로 피난하다/ 모친의 그간 생활/ 3당통일회의 석상에서 피격당하다/ 일본기의 공습으로 광주로 피난하다
광복군 창설
귀양을 거쳐 중경에 도착하다/ 모친의 별세/ 주석主席으로 선임되어 미국에 외교위원부를 설치하다/ 광복군 성립 전례식을 거행하다/ 신봉빈 여사와의 인연/ 너무나 슬픈 일들/ 순국한 현익철 동지의 묘소를 목례로 참배하다/ 이동녕 선생의 별세, 그리고 남아 있는 동지들과 가족들
계속
일제의 항복
통일 문제/ 광복군 조직 공작의 성과/ 대일본 비밀공작/ 일본의 항복 소식을 듣다/ 수포로 돌아간 광복군의 본국 침입 공작/ 중경에서의 지난 생활/ 귀국 길에 상해를 방문하다
그리던 고국에 돌아오다
27년 만에 고국 땅을 밟다/ 38선 이남 지방 순회/ 3열사 유골 봉환식을 거행하다/ 삼남 지방 순회/ 38선 이남 서부 조선 순회
부록
환국 이후의 백범 연보
기존 출판 『백범일지』 정오표
주요 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저자 소개
역주자 소개
백태남_
기존 『백범일지』에 오류가 많음을 안타깝게 여겨 『새 번역 새 주석 백범일지』를 기획, 번역과 주석 작업을 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지식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정평 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에 참여했으며, 『한국사 연표』, 『그림으로 보는 한국학』을 집필하고 『춘원 이광수 전집』, 『정본 백범일지』,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등의 편찬에 참여했다.
충남 공주사대부고와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수실장과 편찬부장을 역임했다. 열화당 편집위원을 거쳐 지금은 다할미디어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윤형_
건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9년부터 출판 편집자로 일하기 시작하여 열화당 편집실장을 거쳐 현재 태학사 주간으로 있다. 편저로 『한국사람 한국풍경』(사진 황헌만)이 있으며, 『안중근 전쟁, 끝나지 않았다』, 『정본 백범일지』, 『안중근 옥중 자서전』, 『그들이 기록한 안중근 하얼빈 의거』, 『일제 외무성 경찰의 임정·항일 지사 조사 기록』, 『제국의 암살자들』 등 근현대사 책을 비롯하여 『근원 김용준 전집』, 『우현 고유섭 전집』, 『춘원 이광수 전집』,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등 한국학 관계 책 편집에 참여했다.